프로그래밍영어

프로그래밍 영어 / 코딩 영어 시리즈 - 1 ) 코드 설명할 때 주로 쓰이는 표현 / For 의미 / 분석 / 코딩 인터뷰 준비 / through 의미

EngTeach 2023. 8. 18. 13:49
728x90

프로그래밍 영어

영어 책을 읽거나 영어로 된 영상을 자주 보다보면 엄청 자주 쓰이는 표현들이 몇가지 있다. 그 표현들을 정리하고 최대한 어떻게 내가 이 문장들이 구성되는지를 이해하고 있고, 어떻게 사용하면 좋은지를 정리하고 공유할겸 적어보려고 한다. 만약 이상한점이나 피드백이 있다면 댓글로 달아준다면 적극 반영 예정이다. :)

몇 줄에 걸친 코드 블락을 설명할때

만약 우리가 아래와 같은 코드 블락(Code Block) 에서 "몇 번째 줄 부터 몇 번째 줄" 까지를 영어로 표현해야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아마 익숙하지 않다면 쉽게 떠오르지 않을 것 이다. 한번 예시를 들어 설명해 보는 연습을 해보도록 하자

fun test() {
    var x = 10;
    var y = 20;
    var list = listOf(x, y)
    
    for (ele in list) {
    	print(ele)
    }
}

만약 영어로 "6 ~ 8 번째에 해당하는 코드 라인은 list 의 데이터를 순회한다" 라는 걸 말하고 싶으면 어떻게 이야기 할 수 있을까? 한번 답을 보기전에 먼저 머리로 혼자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지길 바란다. 

 

이제 한번 생각을 영어로 바꿔보도록 하자.

The code line for 6 through 8 iterates through the list of elements

이 표현은 영어 공부로된 원서를 읽다보면 상당히 많이 나오는 편이다. 필자는 현재 Go in Action 을 읽고 있는데 Go in Action 에서도 엄청 자주 나오는 표현 중 하나이다. 아마 이글을 보는 개발자들은 왜 이렇게 번역되는지 궁금하고 분석해하고 싶어할 거 같아서 분석하는 섹션을 이제 가져보려고 한다.

For

이전에도 For 에 대한 것을 이야기한적이 있는데 여기서는 `Cambridge` 사전에 의거한 뜻들 중 하나인 `in relation to something` 에 가까운 의미로 사용되었다. 

위의 그림과 같이 6 ~ 8 까지의 (코드라인은) 앞서 이야기한 `The code line` 과 관련있음을 이야기 해주기 위해 `for` 가 쓰인다. 조금 더 자세한 설명을 위해 예문과 함께 설명해 보려고 한다.

교환 가능한 / 대칭 가능한 에너지

`for` 는 이전에 다뤘듯이 "전치사 연구" 책을 보면 에너지 자체는 다른 의미도 물론 많지만 교환 가능의 느낌으로 많이 쓰인다. 여기서 `for` 를 상세하게 설명하기에는 너무 길어지니 가볍게 예문만 만들고 넘어가려고 한다. 부수적인 것들은 따로 찾아서 공부해 보길 바란다.

I bought an umbrella for 5 dollars.

위의 문장을 보면 알수 있듯이 umbrella5 dollars 에 샀다는 의미로, 즉 교환가능한 성질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연관되어 있는 것

위의 `code line` 과 `6 through 8` 에서 쓰인 `for` 는 어떤것과 연관되어 있는 표현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아래 문장을 한번 보자.

Her felling for him had changed

"그에 관한 그녀의 감정이 변했다" 라는 의미이다. 이처렴 그녀의 감정이 그와 연관되어 있던 감정인데 이제 그 감정이 변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문장에서의 "코드 라인(Code line)" 이라는 것도 수식해주는 '6 through 8' 에 연관되어 있다. 

through

코드에서 무언가를 순회할때 `iterate through (over) something(can be iterated)` 는 거의 구동사의 느낌 처럼 쓰인다. 글의 맨 마지막에 Iterate through 와 over 에 관한 글을 남겨놨는데 한번 댓글도 함께 읽어보면 좋다. (나는 개인적으로 iterate through 혹은 over 로 쓰인 글을 더 많이 봤다.)

 

본문으로 들어와서, `through` 는 대부분이 우리가 위에 언급한 문장 처럼 왜 저렇게 쓰였는지 이해했을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데 그래도 짚고 넘어가 보려고 한다. `through` 라는 단어 자체는 이미 `from A to B` 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즉, 어디로서 부터 시작해서 어디론가 에너지의 방향성이 흐르는 vector 와 같이 방향성이 있는 단어라고 생각하면 좋다.  코드의 특정 라인 부분을 설명할때도 아래 그림과 같이 `시작하는 지점` 과 `끝이 있는 지점` 이 존재하므로 이 표현을 사용할 수 있는 이유이다.

 

(물론 다른 표현과 함께 from..to 나 range 를 나타낼수 있는 표현 등을 써서도 충분히 가능할 수 있다.)

위 그림에 표시한 것과 같이 특정 큰 코드 뭉치에서 일정 부분만 가르키고 있을때 쓸수 있는 표현이다. 예를 들면 6 ~ 10 라인 부분 구현이 잘 이해가 안가요. 는 어떻게 이야기해볼수 있을까?

I don't understand how it works at the code line for the 6 through 10 lines.

위와 같이 이야기 할 수 있다. 한 문장만 만들어보자. "이제부터 6 - 10 번 라인의 코드를 한번 샅샅이 파악해볼까요?" 라는 문장을 자신이 아는 느낌으로 한번 영어로 이야기해보자. 

Let's break down the code line for 6 through 10 lines.

마치며

영어로 된 프로그래밍 서적 혹은 영상 컨텐츠를 보다보면 "구동사(phrasal verb)" 처럼 굳어진 표현들이 몇개 보인다. 이런것들을 모아서 앞으로 시리즈 처럼 정리해보려고 한다. 만약 잘못된 점이나 이상한 점, 그리고 조금 더 컨텐츠적으로 추가됬으면 하는 내용들이 있으면 적어주길 바란다.

728x90